
최근 로봇청소기 시장이 확대되면서 가정 내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소비자 피해 역시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품 하자에 따른 불편이 전체 피해의 70%를 넘었다.
12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 6월까지 최근 3년간 접수된 로봇청소기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총 274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보면 2022년 37건에서 2023년 55건, 2024년 105건으로 증가했고, 2025년 상반기에는 이미 77건을 기록해 두 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다.
피해 유형별로는 ‘제품 하자’가 204건(74.5%)으로 가장 많았다. 주요 사례는 ▲센서 기능 하자(42건·24.9%) ▲작동 불가·멈춤(30건·17.8%) ▲부가기능 하자(29건·17.2%) ▲누수(18건·10.7%) 등이다. 센서 불량으로 맵핑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장애물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됐다.
‘계약·거래 관련 피해’도 70건(25.5%)에 달했다. 포장 박스를 개봉했다는 이유로 반품을 거부하거나, 해외 구매대행 제품에 과도한 반품 비용을 청구하는 사례(29건·41.4%)가 많았다. 배송 지연·미배송 문제(26건·37.1%) 역시 빈번했다.
피해 회복률을 보면 계약·거래 관련 피해는 84.1%로 비교적 높았지만, 제품 하자 피해는 56.5%에 그쳤다. 소비자원은 “판매사가 하자 인정을 거부하거나 사용 과실을 주장하는 등 의견 충돌로 합의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제품 구매 시 가정 구조에 맞는 사양을 선택하고, 사용 전 청소에 방해되는 물건을 치우는 등 기본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며 “센서 부위 먼지 제거 등 정기 점검을 통해 오작동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당부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청소로봇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