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Pexels


국내 건설업 종사자의 사고 사망 위험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10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 수)은 1.59로 집계됐다. 이는 OECD 10대 경제국 평균(0.78)의 두 배 수준이며, 가장 낮은 영국(0.24)과 비교하면 약 6.6배에 달한다.

국가별로는 한국에 이어 캐나다(1.08), 프랑스(0.97), 미국(0.96), 이탈리아(0.92), 스페인(0.72), 일본(0.68), 호주(0.34), 독일(0.29), 영국(0.24)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산업 기준으로도 한국의 사고사망만인율은 0.39로, 캐나다(0.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이는 OECD 10개국 평균(0.24)보다 약 1.6배 많으며, 안전 선진국으로 평가되는 영국(0.04)과 비교할 경우 약 9.8배 차이가 난다.

보고서는 건설업과 전체 산업 모두에서 사고사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10개국 평균을 기준으로 할 때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0.78)은 전체 산업(0.24) 대비 약 3.3배 높아, 산업 특유의 위험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연구원은 “국내 건설업은 옥외 작업, 근로자 고령화, 복잡한 사업 구조 등으로 인해 위험 요인이 많고 불확실성이 크다”며 “이 같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안전 관리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가 차원의 대응도 강조했다. 보고서는 “사회 전반에서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는 문화 정착이 필요하다”며 “가정과 학교를 포함한 전 생애 주기 안전 교육을 통해 안전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건설업 #사망률 #oecd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