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이 제안한 GBC 조감도. 서울시 제공

현대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옛 한국전력 부지에 최고 54층 높이의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 프로젝트는 2014년 현대차가 해당 부지를 10조5500억원에 매입하면서 시작되었으며, 2016년에는 105층 랜드마크 타워 건립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최근 계획이 변경되었다. 서울시는 21일 현대차가 GBC 부지 개발 계획 변경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0년 착공 이후로 터 파기 작업만 진행되었으나, 서울시는 경기 침체 상황을 고려하여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서울시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전했다.

GBC 사업은 현대차가 2016년 서울시와 협상 후 발표한 것으로, 처음에는 105층의 랜드마크 타워를 포함하고 있었다.

당초 계획에 따르면, 이 랜드마크 타워에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시민들에게 개방될 예정이었다. 서울시는 용적률을 250%에서 800%로 높여주었고, 현대차가 내야 할 공공 기여금도 약 2000억원 줄여 1조7491억원으로 정해졌다. 그러나 현대차는 작년 2월 105층 빌딩 대신 55층 빌딩 2동을 짓겠다는 설계 변경안을 제출했다.

서울시는 “105층 랜드마크 빌딩을 짓겠다고 해서 용적률을 높여주고 공공 기여 부담도 줄여줬는데, 사업 계획이 크게 바뀌었으니 다시 협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현대차는 “건물 높이와 디자인만 바꾼 것이라 재협상할 이유가 없다”며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이번에 현대차가 제출한 새로운 설계안에는 54층 높이의 빌딩 3동과 9~10층 높이의 빌딩 2동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써 54층 세 쌍둥이 빌딩 단지가 생기게 되며, 높이는 인근 코엑스와 비슷한 242m로 계획되고 있다.

54층 동에는 현대차 본사와 호텔, 전망대, 상가 등이 들어설 예정이며, 저층 동에는 공연장과 전시장 등이 들어선다. 단지 중앙에는 녹지가 조성될 계획이며, 서울시는 GBC 단지 서쪽의 영동대로를 지하화한 후 지상에 녹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번 설계안은 영국의 유명 건축가 노먼 포스터가 디자인하였으며, 첨단 기술과 친환경 요소를 결합한 건축 디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과거에는 높게 지어야 랜드마크라고 했는데, 최근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며 “첨단 기술과 도심 녹지가 어우러지는 새로운 랜드마크를 지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건은 현대차가 부담해야 할 공공 기여 금액의 규모이다. 설계안 변경과 땅값 상승으로 인해 당초 1조7491억원에서 2조원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와 현대차는 민간 전문가와 함께 조정 협의회를 구성하여 협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현대차 #삼성동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