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경제가 5월에도 생산·소비·투자 등 산업활동 전반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며 경기 회복세에 제동이 걸렸다. 정부는 침체된 내수를 살리기 위해 30조 원대 추경을 조속히 추진하는 한편, 대외 통상 리스크 대응에도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5년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1.1% 줄며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도 0.8% 줄었다. 부문별로는 광공업 생산이 2.9%, 서비스업 생산이 0.1% 각각 감소했고, 건설기성도 3.9% 줄었다.
광공업 부문에서는 3월 반짝 반등했던 반도체 생산이 다시 조정 국면에 들어섰고, 의약품·금속가공 등도 일제히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석유정제 분야는 소폭 증가했다.
서비스업에서는 도소매, 숙박·음식업 부진이 두드러졌으며, 운수·창고업도 줄었다. 금융·보험업은 2.8% 증가하며 그나마 버팀목이 됐다.
소비지표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월과 같은 수준(0.0%)으로 보합을 나타냈다. 내구재(통신기기·컴퓨터)와 의류(준내구재)는 증가했지만, 화장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줄면서 전반적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4.7% 감소했다. 항공기·선박 등 운송장비 투자는 늘었지만, 반도체 장비 등 기계류 투자가 크게 줄어든 여파다. 건설기성은 과잉 투자 조정 국면이 이어지며 3.9% 감소, 전년 대비로는 무려 20.8%나 축소됐다.
경기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경기지수 순환변동치는 동행지수가 0.4포인트, 선행지수는 0.1포인트 하락하며 모두 약세를 보였다.
정부는 침체된 내수 회복을 위해 30조5천억원 규모의 추경을 신속히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소비를 살리기 위해 1인당 15만~50만 원 규모의 소비쿠폰과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고효율 가전 환급, 문화·체육 할인 쿠폰 등을 대거 포함했다. 또한 SOC 조기 착공, 소상공인 채무조정, 구직급여 확대 등의 민생안정 조치도 담겼다.
아울러 미중 갈등, 對美 관세 강화 등 대외 리스크에 대응해 수출금융 공급 확대(+25조원), 수출바우처 지원 확대, GPU 확보(1.5조원) 등 산업 보호 조치도 병행 추진한다.
정부 관계자는 “소비심리와 수출 흐름은 다소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정책적 대응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산업활동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