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 5가지 지원전략 발표

300조 원 규모의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보완

신진욱 편집인 승인 2023.03.17 15:41 | 최종 수정 2023.05.27 14:32 의견 0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16일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정부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반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는 시스템반도체는 인공지능, 전기화 시대의 산업·안보 공급망의 핵심이나, 우리나라의 글로벌 점유율은 3% 수준으로 경쟁력이 낮다. 따라서 정부는 우리나라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반도체 설계 분야 기술·기업, 후공정, 전문인력 등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보완하기 위한 5가지 지원전략을 추진한다.

반도체 칩. Pixabay

◇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300조 원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트를 경기 용인시에 구축해 2nm 이하 최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기를 구축하고, 국내외 우수 소부장·팹리스 기업, 연구소 등 최대 150개를 유치할 계획이다.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기흥, 화성, 평택, 이천 등)와 인근 소부장 기업 및 판교의 팹리스 밸리 간 연계를 통해 메모리-파운드리-팹리스-소부장이 집적한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를 구축한다.

팹리스 : 반도체 설계를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 설계를 제외한 모든 공정은 외주로 진행되며, 외주 생산한 칩의 소유권이나 영업권은 팹리스에 있어 자사 브랜드로 판매(출처: 삼성반도체 뉴스룸)

◇ 설계-제조-후공정 전반의 생태계 업그레이드

연구 개발(R&D), 시제품, 인력 등 파운드리-소부장-팹리스 생태계 혁신 협력에 민간 주도로 2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2035년까지 유망 팹리스 성장을 촉진해 매출 1조 원 기업 10개를 만든다는 목표다. 올해 팹리스 첨단공정 6건(과제당 약 9억 원)을 지원한다.

비수도권에 24조 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유치하여 패키징 연구개발 및 생산 거점을 구축하고, 대규모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여 후공정 소부장·패키징 기술 등의 개발 및 상용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 차세대 반도체 대규모 핵심 기술개발 지원

전력·차량·AI 등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3대 유망 반도체 기술 분야에 대규모 연구 개발(3.2조 원)을 기획·추진한다. 또한 글로벌 대기업·공기업과 팹리스가 계획 수립부터 구매 조건부로 반도체를 개발하는 대규모 수요연계 프로젝트에 건당 50~80억 원을 신규 지원할 계획이다.

◇ 세제·재정, 우수인력 등 반도체 성장기반 강화

첨단산업 분야 제조시설 신·증설시 세제지원을 대폭 확대(8~16% 공제→15%~25% 공제)하고, 평택·용인 클러스터 대상 전력, 용수 등 인프라 구축에 올해 1000억 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다각적 정책 통해 15만 명의 반도체 인력양성 목표를 추진한다.

◇ 공급망 재편에 대응한 기술협력 및 수출지원

우리의 강점인 제조공정과 미국의 강점인 소부장·설계 간 기술협력을 추진하고 미 반도체 거점 지역인 텍사스, 실리콘밸리에 협력센터를 신설하여 우리 기업의 현지 수요발굴·매칭-검증-마케팅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_______________
※ SNS에 ‘기사 공유’를 원하시면 기사 상단에 있는 공유버튼을 이용하십시오. ‘기사 사용’을 원하시면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제136조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

저작권자 ⓒ 한국경영자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