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비스 '뤼튼'이 생성한 이미지


‘불황형 산업’으로 불리며 경기 침체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던 편의점 업계가 흔들리고 있다. 올 1분기 매출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했으며, 점포 수 증가세도 36년 만에 처음으로 꺾였다. 여기에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가능성까지 더해지며 편의점 산업 전반이 위기에 직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유통업 매출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편의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했다. 2013년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분기 기준 매출이 뒷걸음질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이 역성장을 기록했다는 점은 내수 소비 환경이 얼마나 예민해졌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편의점 업계 양대 산맥인 CU와 GS25 역시 실적 부진을 피하지 못했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3.2% 증가한 2조165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226억원으로 30.7% 급감했다.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 역시 편의점 부문 매출이 2조123억원으로 2.2%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34.6% 감소한 172억원에 그쳤다.

성장의 기반이던 점포 수 증가세도 멈췄다. 지난해 국내 편의점 빅4(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의 점포 수는 5만4852개로, 1988년 편의점이 국내에 도입된 이래 처음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이는 가맹점 포화, 수익성 악화, 신규 창업 기피 등 복합 요인이 반영된 결과다.

경기 위축 또한 편의점 매출에 직격탄을 날렸다. 고금리·고물가 기조가 지속되며 소비 심리가 냉각된 탓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4월 소비자 동향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8로 5개월 연속 장기 평균(100)을 밑돌았다.

여기에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편의점 운영 여건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24시간 운영이 기본인 업계 특성상 다수의 편의점이 최저임금 수준의 시급 노동자에 의존하고 있어, 인건비 인상에 따른 타격이 직접적이다.

무인화 시도도 한계에 봉착해 있다. 셀프 계산대, 키오스크 등 자동화 설비 도입이 늘고 있으나,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관리 부담이 크다. 게다가 담배·주류 판매 시 신분증 확인 문제 등으로 완전 무인 전환에는 제약이 따른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무인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아직 사람이 필요한 영역이 많다”며 “기술 도입보다 더 시급한 건 제도와 운영 측면의 유연한 개선”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저임금위원회는 지난 4월 제1차 전원회의를 열고 내년도 최저임금 논의에 착수했다. 이달 27일 재개될 회의에서는 인상률을 두고 노사 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편의점 업계는 최저임금 인상 폭에 따라 생존 여부가 갈릴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편의점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