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 GPT 생성 이미지


미중 무역협상에 긍정적 신호가 감지됐음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간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5% 하락한 42,319.72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53% 내린 5,939.30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83% 하락한 19,298.45로 장을 마감했다.

장 초반 뉴욕증시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제네바 무역 합의’ 이후 처음으로 대화를 재개했다는 소식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트럼프-머스크 간 충돌이 공개적으로 불거지며 투자 심리가 급랭, 증시는 하락 전환했다.

머스크는 최근 트럼프의 감세 법안을 향해 “당장 없애버려야 한다(KILL the BILL)”며 비판의 날을 세웠고, 이에 대해 트럼프는 “내가 일론을 많이 도왔음에도 실망스럽다”고 응수했다.

머스크는 자신의 엑스(X, 전 트위터) 계정을 통해 “배은망덕한 짓”이라고 되받았고, 트럼프는 다시 “머스크는 정부 직책에서 물러나라는 요청을 받은 뒤 미쳐버렸다”며, “정부 예산을 절감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머스크와의 계약을 파기하는 것”이라고 발언 수위를 높였다.

머스크는 트럼프 탄핵을 지지하는 의미로 “예”라고 답글을 달며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 같은 갈등의 여파로 테슬라 주가는 한때 17% 넘게 급락했으며, 최종적으로는 전일 대비 14.26% 하락 마감했다. 이 여파는 증시 전반으로 확산돼 주요 지수 전반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전 업종이 하락세를 보였으며, 특히 임의소비재는 2.47% 급락해 낙폭이 가장 컸다. 기술 대장주 그룹인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 중에서는 테슬라 외에도 엔비디아와 애플이 각각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또한 미국의 인공지능(AI) 기반 방산업체인 팔란티어도 8% 가까이 급락했다. 이는 창업자 피터 틸이 머스크와 함께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연합체인 ‘페이팔 마피아’의 핵심 인물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가 관계자는 “미중 정상 간 대화 재개라는 긍정적인 재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와 머스크의 충돌이 정치·경제 이슈로 확대되며 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부각됐다”고 평가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머스크 #트럼프 #미증시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