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미 백악관 홈페이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국내 자동차 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현대차는 이러한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차량 판매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을 일축하며, 고객 가치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발표했으며, 이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면제되었던 관세가 사라지면서 국내 완성차 업체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한국에서 생산된 자동차 대수는 413만 대에 달하며, 이 중 278만 대가 수출되었다. 이 수치는 전체 생산의 67%에 해당하며, 미국으로 수출된 차량은 143만 대로 전체 생산의 35%를 차지한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관세가 적용될 경우, 한국 자동차 수출액이 지난해 대비 약 63억5000만달러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현대차그룹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KB증권에 따르면, 25%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자동차에는 약 1225만원의 관세가 붙게 되며, 이 중 40%는 미국 소비자가, 60%는 현대차와 기아가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지 차량 판매 가격이 상승하면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판매 대수는 지난해 대비 6.3%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KB증권은 현대차와 기아의 연간 이익 감소 폭을 각각 3조4000억원, 2조3000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차의 호세 무뇨스 대표이사는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 가능성에 대해 부인했다. 그는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에서 현재 자동차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 없다"고 강조하며, "관세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현대차가 고객 가치를 창출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아의 송호성 사장도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아직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인상 등을 얘기하기는 너무 이르다"며, "현재 저희가 갖고 있는 공장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앨라배마 공장과 조지아 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공장의 생산 규모는 총 100만 대에 이른다.
KB증권은 최근 준공식을 연 HMGMA의 경우 생산 규모를 50만 대까지 늘릴 경우, 현대차의 영업이익이 관세가 없었을 때보다 오히려 5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대미 의존도가 높은 한국GM은 존폐 위기에 처해 있다. 한국GM은 지난해 기준으로 생산 물량의 84%가 대미 수출 물량이었으며, 트레일블레이저와 트랙스 등 미국 시장에 맞춘 모델을 앞세우고 있다. 관세로 인해 가격이 오르면 한국GM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사장은 지난달 임직원 미팅에서 "회사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해 왔으며 한국 사업은 계속 운영할 것"이라고 밝혀 철수설을 일축했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이 미국 자동차, 부품, 물류, 철강,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 총 21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지렛대 삼아 정부가 관세 유예 또는 면제를 요청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 1일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진행하며, "어려움에 직면할 자동차 산업을 비롯해 각 산업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지원 조치를 긴급하게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이 자동차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트럼프 #관세 #자동차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