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
오픈AI의 최신 이미지 생성 기능이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진을 다양한 스타일로 변환하는 재미를 느끼고 있다.
최근 AI 업계에 따르면, 챗GPT의 일일 활성 이용자 수가 급증하며 이 서비스의 인기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 27일 기준으로 챗GPT의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는 125만2000명에 달하며, 이는 한 달 전의 79만9000명에서 무려 56% 증가한 수치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지난달 31일, 단 1시간 만에 챗GPT 이용자 수가 100만 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2022년 11월 서비스 출시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입자 수가 5억 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배경에는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의 출시가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하는 등 다양한 화풍으로 변형할 수 있다. 만약 일일 이용자 약 45만 명이 각각 한 번씩 이미지 변환을 했다면, 오픈AI는 최소 45만 개의 인물 사진 데이터를 확보한 셈이다. 이러한 사진 화풍 변환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오픈AI가 이번 신드롬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는 막대한 규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진이 오픈AI의 데이터 학습에 활용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지브리 화풍 변환' 열풍을 계기로 오픈AI가 기존보다 훨씬 많은 이미지 데이터를 축적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 국내 AI 업계 관계자는 "오픈AI가 초상권 침해 문제를 고려해 얼굴을 직접 활용하지는 않겠지만,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분석해 AI 학습 데이터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오픈AI 관계자에 따르면, 챗GPT 엔터프라이즈, 챗GPT 에듀, 챗GPT 팀 등은 입력된 데이터를 모델 학습에 활용하지 않지만, 무료·플러스·프로 사용자들의 데이터는 AI 모델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이용자는 설정에서 자신의 데이터가 학습에 사용될지 여부를 직접 제어할 수 있어, 원치 않는 경우 데이터 제공을 차단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픈AI가 이용자 사진을 무단으로 영리적 목적이나 2차 가공에 활용했다는 신고가 접수되지 않는 한, 개인정보 보호 방침이 지켜질 것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챗gpt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