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생성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고율 관세를 2~3주 안에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2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매일 협상 중이며, 관세율을 재설정할 것”이라며 “중국도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하루 전 “중국에 대한 관세가 너무 높다”고 말한 데 이어 구체적인 조정 시점을 밝힌 것으로, 무역전쟁에 따른 미국 경제 타격을 의식한 유화 제스처로 풀이된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지속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협상 필요성을 강조했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대중 관세를 50~65%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중국은 즉각 반박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24일 “관세 전쟁에 승자는 없다”며 강경 입장을 보였고, 중국 상무부도 “미국과 협상 중인 사안은 없다”며 트럼프 발언을 부인했다.

미국 내 산업계의 반발도 트럼프의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계를 대표하는 6개 단체는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 철회를 요청했고, 월마트·타깃 등 대형 유통업체 CEO들도 “관세가 계속되면 물류가 멈춰 진열대가 비게 될 것”이라며 관세 계획의 재조정을 촉구했다.

한편, 미국 내 12개 주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제 혼란을 초래했다며 연방국제통상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중국에 대한 강경 노선이 자국 경제를 흔들고 있다는 비판이 트럼프 행정부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제기되고 있는 셈이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트럼프 #관세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