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이 실시한 조사에서 100명의 경제학 교수들이 전망한 대한민국 경제성장 예측. 경총 제공


국내 경제학자들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정부의 예측치인 1.8%보다 낮은 1.6%로 전망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100명의 경제학 교수 중 64%가 상당 기간 경제 성장 정체를 예상하고 있다. 이는 한국 경제의 산업 경쟁력에 대한 비관적인 시각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경제학자들은 향후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35%는 일정 기간 하락 후 완만한 속도로 회복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가파른 성장은 고사하고, 완만한 성장조차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반적인 산업 경쟁력에 대한 응답에서도 비관적인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56%의 교수들이 한국의 산업 경쟁력이 낮다고 응답했으며, 낙관적인 의견은 9%에 불과했다. 이러한 비관적인 전망은 최근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와 같은 외부 요인에 대한 우려와도 연결된다.

응답자 중 83%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가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에 취약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반면, 미·중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이나 한미 협력 강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은 8%에 그쳤다.

정치적 불안정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는 57%가 “단기간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국가재정 운용에 대해서는 40%가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기준 금리는 현재보다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 76%에 달했다.

예상 기준 금리에 대한 응답에서는 65%가 2.5% 이상 3.0% 미만으로 예상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첨단기술 경쟁 심화, 보호무역 확산, 소비 부진 같은 요인들로 인해 우리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경제학자들도 지금의 경제 상황과 전망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경총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