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분산형 전력망 시스템.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투자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31일,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을 발족하고, 전력망 전환 로드맵과 세부 추진 계획 마련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은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분산 에너지원을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어하여 전력 생산-저장-소비를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마이크로그리드)'을 의미한다.
기존의 발전소에서 소비처로 전기가 일방향으로 흐르던 송전 중심의 전력망을 넘어,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배전망을 통해 생산되고 소비되며, 남는 전력은 다시 송전망으로 되돌아가는 '양방향 계통'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는 지역 단위의 촘촘한 소규모 전력망 구축을 통해 전력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전력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정책 목표 및 산업 활성화 전략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차세대 전력망 구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목표를 설정했다.
재생에너지에 적합한 전력 시스템 구축: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의 안정적인 연계를 위한 유연한 전력 시스템을 마련한다.
지역별 전력 수급 균형 도모: 발전 지역 내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를 통해 지역 간 전력 수급 불균형을 해소한다.
전력망의 수출 산업화: 전 세계적인 전력망 현대화 추세에 발맞춰 국내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력망 수출 산업화를 추진한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한 규제 특례이다. 정부는 우선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차세대 전력망 실증 사업을 진행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실증 유망 지역을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지정하여 「전기사업법」 및 전력시장에 대한 규제 특례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전력 신산업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고, 지역 발전사와 수요 기업 간의 전력 직접 거래를 허용하여 다양한 전기요금제 출현을 유도함으로써 기업의 에너지 비용 절감과 전력 시장의 혁신을 촉진할 예정이다.
□ 전라남도 실증 사업…에너지 산실로 도약
첫 실증 사업은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풍부하고, 한국에너지공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관련 연구기관이 집적된 전라남도에서 추진된다. 전라남도는 차세대 전력망 시범 구축에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다.
한국에너지공대는 에너지 기업, 연구기관, 스타트업이 협업하는 오픈 캠퍼스로 운영되며, 한국에너지공대, 광주과학기술원, 전남대학교는 공동 연구, 장비 활용, 기술 창업 협력을 통해 에너지 신산업 창업의 산실로 거듭날 전망이다.
또한, 산업단지, 대학 캠퍼스, 공항, 군부대 등 맞춤형 전력망 구축 실증 사업도 병행된다. 예를 들어, 철강업종 중심의 산업단지에 재생에너지 단지를 조성하고, 잉여 전력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여 수소 환원 제철 등 탈탄소 공정에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된다. 이는 기업의 탄소 중립 전환 가속화와 친환경 산업 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핵심 기술 개발 및 전력 시장 제도 개선
정부는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장주기 ESS와 같은 차세대 전력망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재생에너지 판매 입찰 시장을 확대하며, 주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 및 이익 공유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또한, 배전망에 대규모 ESS를 구축하여 전력 계통 안정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번 차세대 전력망 구축은 다양한 산업과 분야를 망라하며, 전력 시장 제도 개편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포함하는 만큼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에는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등 관계 부처와 지자체, 한전,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코트라 등 유관기관, 민간 업체 및 외부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여 다각적인 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정책을 통해 "지역 에너지 분권화도 속도를 낼 계획"이라며, "유럽에서 마을 협동조합이 마이크로그리드를 공동 설치하고 지역 발전에 활용하는 사례처럼, 주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과 이익 공유 시스템 마련으로 에너지 취약 지역 마을을 RE100 마을로 전환하는 사례도 다수 출현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전력망 #에너지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