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전경. 한은 제공
지난해 한국은행의 당기순이익이 1년 전보다 크게 증가하여 7조8천189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2023년의 1조3천622억원에서 무려 6조4천567억원이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대였던 2021년의 7조8천638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성장은 유가증권 매매익과 이자 수익의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총수익은 26조5천179억원으로 전년 대비 7조711억원이 늘어났다.
특히, 유가증권 매매익은 8조3천172억원으로 3조5천663억원 증가했으며, 유가증권 이자도 11조5천933억원으로 2조6천121억원이 늘어났다.
반면, 총비용은 16조1천208억원으로 1조4천622억원 줄어들어, 유가증권 매매손의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순이익 중 30%에 해당하는 법정적립금 등을 제외한 5조4천491억원은 정부 세입으로 처리되었다.
2023년 말 기준으로 한국은행의 총자산 규모는 595조5천204억원으로, 2023년 말의 536조4천19억원보다 59조1천185억원 증가했다.
이는 환율 상승으로 외화자산의 원화 환산 규모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부채 또한 567조1천549억원으로,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평가조정금 증가로 52조2천531억원이 늘어났다.
한국은행이 보유한 외화자산 중 8.0%는 현금성 자산, 67.2%는 직접투자자산, 24.9%는 국내외 자산운용사와 한국투자공사(KIC) 등에 맡긴 위탁자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화자산을 통화별로 나누어 보면, 미국 달러화가 71.9%를 차지하며, 기타 통화는 28.1%를 기록했다. 달러 비중은 전년보다 1.0%포인트(p) 증가했다.
상품별 비중을 살펴보면, 정부채가 47.3%, 정부기관채가 10.1%, 회사채가 10.4%, 자산유동화채가 11.6%, 주식이 10.2%로 집계되었다. 특히, 1년 사이 정부채 비중은 2.6%p 증가한 반면, 정부기관채는 3.2%p 감소하였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한국은행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