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생성 이미지
2025년 3월 청년층의 실업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고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15세 이상 고용률은 62.5%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지만,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4.5%로 1.4%포인트 하락했다.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9.3%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3.1%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으며, 청년층 실업률은 7.5%로 1.0%포인트 증가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며, 고용률과 실업률의 변화를 상세히 분석하고 있다. 2025년 3월 취업자는 2,858만 9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만 3천명 증가했지만, 청년층의 취업자는 20만 6천명 감소했다. 이는 청년층의 고용 시장에서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수치로, 특히 20대의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것이 두드러진다.

통계청 제공
고용률의 변화는 연령대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30대, 40대, 60세 이상에서 고용률이 상승한 반면, 청년층과 50대에서는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60세 이상의 고용률은 46.4%로 증가하여,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20대의 고용률은 44.5%로 하락하여, 청년층의 고용 불안정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21만 2천명 증가했으며, 공공행정 및 국방 분야에서도 8만 7천명 증가했다. 그러나 건설업과 제조업에서는 각각 18만 5천명, 11만 2천명 감소하여, 전반적인 고용 시장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건설업의 감소는 경기 둔화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분석된다.
종사상 지위별로 살펴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23만 4천명 증가했지만, 일용근로자는 10만명 감소했다. 이는 고용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복잡한 상황을 나타낸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2만 9천명 감소했으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2만 8천명 증가했다. 이는 자영업자들의 경영 환경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업자 수는 91만 8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만 6천명 증가했으며, 실업률은 3.1%로 상승했다. 특히 20대와 60세 이상에서 실업자가 증가하여, 연령대별 고용 불균형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청년층의 실업률은 7.5%로, 20대의 고용 시장에서의 어려움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20만 1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명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육아와 연로로 인한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했지만, 쉬었음 인구는 증가하여,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가 다양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고용 동향에 대해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고용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청년층의 고용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은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고용동향 #실업률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