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국내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42개사는 2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기업형 벤처캐피털 얼라이언스 출범식을 갖고 민관합동으로 2025년까지 8조 원 +α 규모의 CVC 펀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 기업형 벤처캐피털(Corporate Venture Capital) : 대·중견기업 등 회사법인이 대주주인 벤처캐피털
산업부는 △2025년까지 CVC 정책펀드 1조 원 조성 △CVC 참여형 R&D 개방형 오픈이노베이션 추진 △CVC 투자기업의 성장지원 △CVC 제도개선 등을 내용으로 하는 ‘산업 역동성 향상을 위한 CVC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CVC 업계는 기업형 벤처캐피털이 계열사의 역량을 총동원해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차별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1조 원 정책펀드과 함께 업계도 7조 원 규모의 CVC 펀드를 추가 조성하고 모기업·계열사를 통해 스타트업의 기술검증, 시장개척 등 스케일업 전 주기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CVC 투자 확대를 위해 일반지주회사 소속 CVC이 적용받는 외부자금 조달 비율 제한, 해외투자 비율 제한 등 규제개선을 건의했다.
산업부 이창양 장관은 “우리 CVC 업계가 국내외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방안을 조속히 확정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법령개정에 착수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민관합동 CVC 펀드 조성의 첫걸음으로 효성벤처스 510억 원,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 700억 원 등 총 1210억원 규모의 제1호 및 제2호 민관합동 CVC 펀드 결성식도 진행됐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cvc #기업형벤처캐피털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