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우리나라 자영업자는 579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43만5000명으로 4월 대비 1만8000명명 늘었고, 작년 같은달보다는 5만3000명 늘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35만6000명으로 4월에 비해 5만8000명, 작년 4월과 비교하면 4만명 증가했다.
통계청은 14일, 올 5월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15세이상 취업자는 2883만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5만1000명(1.2%) 증가했다. 고용률은 63.5%로 전년동월대비 0.5%p 상승했다. 실업자는 전년동월대비 10만2000명(-11.4%) 줄어 실업률은 2.7%(전년동월대비 -0.3%p)를 기록했다.
【그림】 2023년 5월 고용동향 핵심
통계청 제공
성별로 보면 남자는 1611만6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000명(0.9%) 늘었고, 여자는 1272만명으로 34만8000명(2.8%) 증가했다. 여성 취업자 증가가 전체(35만1천명)의 99.1%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60세이상에서 39만9000명 △50대에서 4만9000명 △30대에서 7만명 증가했고, △20대에서 6만3000명 △40대에서 4만8000명 감소했다. 60세이상 취업자 수 증가는 전체 취업자 수 증가보다 많았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9만9000명 줄었고, 고용률은 0.2%p 줄어든 47.6%를 기록했다. 청년층 경제활동인구가 줄면서 고용률은 높아져 다시 60세이상 고용률(47.1%)을 앞질렀다.
산업별 취업자 증가율은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4만7천명, 9.6%)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11만1천명, 8.7%)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6만6천명, 6.0%) △숙박및음식점업(12만8천명, 5.9%) 순으로 높았다.
반면, △부동산업(-3만명, -5.2%) △건설업(-6만6천명, -3.0%) △제조업(-3만9천명, -0.9%) △도매및소매업(-3만 1천명, -0.9%) 순으로 취업자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업은 취업자가 다섯달째 감소했다.
【그래프】 취업자 및 고용률 추이
통계청 제공
직업별 취업자는 △서비스종사자(25만4천명, 7.8%) △전문가및관련종사자(35만9천명, 6.1%) △사무종사자(13만9천명, 2.8%)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증가했고, △기능원및관련기능종사자(14만6천명, -5.9%) △단순노무종사자(-18만9천명, -4.5%) △장치·기계조작및조립종사자(-8만4천명, -2.7%) 등에서 감소했다.
5월 실업자는 78만7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0만2000천명(-11.5%) 감소했고 실업률은 2.7%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자는 전년동월대비 7만3000명 감소하면서 실업률은 5.8%로 1.4%p 줄었다.
【그래프】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통계청 제공
통계청 5월 고용동향 전문보기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고용동향 #자영업자수 #취업자수 #실업률 #취업률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