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의 인수합병(이하 M&A)는 ‘콘텐츠·플랫폼’ 업종에서 가장 많이 이뤄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지난 11일 벤처기업협회는 'M&A 벤처기업 현황 및 특성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M&A까지 평균 11.1년 소요되고, ‘콘텐츠·플랫폼’ 업종 비율이 가장 높으며, M&A 직전 3년간 고용인원 수, 연구개발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벤처확인제도 개편(‘21.2월) 이후 벤처기업확인기관을 통해 인수합병 사유로 확인서를 재발급 받은 벤처기업 및 인수합병에 의한 요건상실로 취소된 벤처기업 78개사(’23년 7월 말 기준)를 분석대상으로 했다.

◇ M&A 벤처기업의 일반특성

M&A 벤처기업의 수도권 소재 비율은 83.3%로 수도권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M&A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A 벤처기업의 M&A 직전년도 평균 상시종업원 수는 97.8명으로 나타났으며, 설립으로부터 M&A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11.1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표】 M&A 형태에 따른 벤처기업 특성

벤처기업협회 제공

M&A 벤처기업의 평균 종업원 수와 평균 연구개발비는 M&A가 이루어지기 전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종업원 수는 3년간 평균 24.9명 늘었고, 연구개발비는 3년간 평균 2억1400만원 증가했다.

【표】 M&A 벤처기업 종업원 및 연구개발비 특성

벤처기업협회 제공


M&A 벤처기업의 70.5%는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고, 특허권 보유율은 60.3%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A 벤처기업의 특허권 수는 평균 4.4건이며, 대·중견기업에 피인수된 경우 평균 특허권 수가 7.4건으로 가장 많았다.

【표】 M&A 벤처기업 업력에 따른 지식재산권 보유 현황

벤처기업협회 제공


M&A 벤처기업은 ‘콘텐츠/플랫폼’ 업종이 가장 많은 41.0%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M&A 벤처기업 업종현황 상위 4개

벤처기업협회 제공

◇ M&A 벤처기업의 재무특성

타 기업을 합병하여 존속한 ‘합병’ 사례에서 M&A 직전 3개년간 매출액 영업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등 수익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표】 M&A 벤처기업 수익성 현황

벤처기업협회 제공


대·중견기업에 피인수된 벤처기업의 부채비율이 3년간 지속적으로 낮고, 자기자본비율은 높아 피인수 벤처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장성 또한 가장 높은 매출액, 총자산 증가율을 보인 피인수 벤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M&A 벤처기업 안정성 현황

벤처기업협회 제공

【표】 M&A 벤처기업 성장성 현황

벤처기업협회 제공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한국벤처기업협회 #인수합병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