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2030 MZ세대 8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인) 인식조사'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응답자의 77.9%는 소통형, 카리스마형, 위임형 3가지 리더십 유형 중에서 ‘소통형’을 가장 선호하는 유형으로 꼽았다. 13.9%는 강한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카리스마형’을 선택했다. 예상과 달리직원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업무 처리 시 자율성을 부여하는 ‘위임형’은 8.2%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래프】 선호하는 경영진 리더십 유형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기업 내 조직원 간 소통 강화’(37.2%)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서 적극적 투자 및 일자리 창출(29.7%), 좋은 제품과 서비스 생산(24.7%), ESG 적극 실천(5.7%), 기업 역할에 대한 홍보(2.7%) 순으로 나타났다.

【그래프】 긍정적 기업 이미지 제고 위해 필요한 요소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취업하고 싶은 기업을 고르는 기준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워라밸이 보장되는 기업’(36.6%)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월급과 성과보상체계가 잘 갖추어진 기업(29.6%)이 두번째를 차지했고, 정년보장 등 안정적으로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16.3%), 기업과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높은 기업(10.4%), 기업 문화가 수평적이고 소통이 잘 되는 기업(3.8%),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기업(3.3%) 순이었다.

【그래프】 직장 선택 기준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2030 MZ세대는 대기업에 대한 호감비율이 가장 높았으며(64.4%), 중견기업도 호감(51.2%)이 중립이나 비호감보다 많았다.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공기업에 대한 호감이 중견기업보다 낮았고 비호감은 스타트업보다 높았다. 중소기업이 가장 낮은 호감과 가장 높은 비호감 비율을 보였다.

【그래프】 기업에 대한 호감도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앞으로의 혁신‧성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설문에 응한 2030 MZ세대의 73.4%가 대기업이 혁신‧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답했다. 중견기업(62.6%)과 스타트업(59.4%)의 혁신‧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응답도 절반이 넘었다.반면 응답자의 63.9%는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가능성이 보통이나 낮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공기업의 혁신‧성장 가능성이 보통 또는 낮을 것이라는 응답은 72.4%에 달했다.

【그래프】 혁신‧성장 가능성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_____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