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8%에서 0.9%로 소폭 올렸다. 정부가 편성한 추가경정예산(추경)의 효과와 소비심리 개선, 반도체 수출 호조세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IMF는 24일 발표한 ‘2025년 한국 연례협의 결과’에서 “추경 집행이 내수 회복에 일정한 효과를 주었고,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에 따른 민간 소비 회복세가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며 이 같은 수정 전망을 내놨다. 앞서 IMF는 7월 한국 성장률을 0.8%로 전망했지만, 불과 석 달 만에 상향 조정한 셈이다.
IMF 미션단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흐름과 완화적 통화·재정 기조 역시 경기 하방을 막는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한국은 주요국 대비 낮은 물가 상승률과 재정 여력을 바탕으로 경기 부양에 나설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IMF는 전망치 상향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의 구조적 한계와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잠재성장률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고령화와 생산성 둔화, 대외 여건 악화 등 하방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미·중 갈등 심화, 글로벌 금융 긴축 등도 변수로 꼽혔다.
내년 성장률 전망은 기존과 같은 1.8%로 유지됐다. IMF는 “한국 경제가 완전한 회복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재정 건전성과 구조개혁이 필수”라며 구체적 권고사항도 내놨다. 연금 개편, 세입 기반 확대,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 해소, 인공지능 전환에 따른 산업 구조 조정, 수출 다변화 등이 그것이다. 외환시장 개입은 무질서한 쏠림 현상에 대응하거나 비상 상황에 한정해 시행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기획재정부는 IMF의 평가를 환영하며 권고 사항을 정책 운영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연례협의 과정에서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개발연구원(KDI) 등과 함께 주요 경제 지표와 정책 변수를 면밀히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또 중장기적 성장 잠재력 확충과 재정 건전화 전략을 병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경제 전문가들은 IMF의 전망 상향을 긍정적 신호로 보면서도 그 의미는 제한적이라고 진단한다. 성장률 0.9%는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단기적 정책 효과에 의존한 반짝 반등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고령화로 인한 복지 지출 확대와 세입 기반 약화가 겹치면 중장기 재정 건전성에 심각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기업계도 IMF의 권고를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디지털 전환, 산업 구조 재편 등 변화의 흐름에 뒤처지면 한국 경제 전반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 지원도 중요하지만, 기업 스스로 혁신 역량을 강화하지 않으면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며 “특히 수출 다변화와 내수 기반 확대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IMF 전망 상향은 한국 경제에 어느 정도 자신감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성장률 반등의 폭이 크지 않은 만큼,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구조개혁과 재정 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것이 더 큰 과제라는 평가가 힘을 얻고 있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imf #경제성장률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