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노조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사측과 합의점을 찾지 못하며 7년 만에 파업에 나섰다. 노조는 기본급 대폭 인상과 성과급 확대, 정년 연장, 근로시간 단축을 핵심 요구안으로 내세우며 “사상 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노동자의 몫은 줄어들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올해 교섭에서 ▲기본급 14만여 원 인상(약 6.5%) ▲순이익 30%를 성과급으로 배분 ▲상여금 900% 지급 ▲정년 64세 연장 ▲주 4.5일제 도입 등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육아휴직 18개월 확대, 신규 수당 신설, 퇴직자 지원센터 운영 등 복지 확대 방안도 제시했다.
특히 ‘주 4.5일제’는 매주 금요일 근로시간을 절반으로 줄이는 방식으로, 완성차 업계에서는 이례적인 요구로 평가된다. 노조는 “과로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며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노사는 6월 상견례 이후 17차례 교섭을 이어왔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결국 8월 말 교섭이 결렬되면서 노조는 조합원 찬반 투표를 통해 쟁의권을 확보했고, 약 86%의 찬성률로 부분 파업이 가결됐다.
노조는 9월 초부터 울산·전주·아산 등 주요 공장에서 2~4시간씩 부분 파업을 진행하고 있다. 3일 연속으로 이어진 파업은 일부 생산 차질을 불러오며 협력업체와 지역경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현대차는 기본급 8만7천 원 인상, 성과급 350%와 1천만 원 지급, 주식 10주 제공 등 수정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는 노조가 요구한 규모에 크게 미치지 못해 교섭은 다시 교착 상태에 빠졌다.
사측은 “대외적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관세 인상, 환율 불확실성 등 악재가 겹쳐 경영 환경이 쉽지 않다”며 신중론을 강조했다.
현대차 노조의 이번 파업은 단순한 임금 인상 요구를 넘어 근로시간 단축과 정년 연장 등 노동 조건 전반의 개선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완성차 업계 1위 노조의 요구가 관철될 경우 기아를 비롯한 다른 제조업 노사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최근 강화된 노동법과 노조 권한 확대 움직임 속에서 현대차 노조의 교섭 전략은 향후 한국 노동계의 판도 변화를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현대차 #파업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