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오는 26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이재명 정부가 국정 과제로 내세운 ‘주 4.5일제’와 맞물려, 노조가 제도 도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다만 억대 연봉을 받는 은행원들의 근로시간 단축 요구에 대해 사회적 시선은 엇갈리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지난 2일 전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94.98%의 압도적 찬성을 얻었다. 노조는 오는 16일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거쳐 26일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다만 현재 산별 교섭이 진행 중이어서 협상이 타결되면 실제 파업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노조가 제시한 교섭 요구안은 ▲임금 5% 인상 ▲주 4.5일제 전면 시행 ▲정년 연장 ▲신규 채용 확대 등이다. 금융노조는 2002년 주 5일제 도입이 금융권에서 시작돼 사회 전반으로 확산된 전례를 들며, 주 4.5일제 역시 금융산업이 먼저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과거 주 5일제 도입처럼 가능한 산업부터 시작해 변화를 확산시켜야 한다”며 “금융산업이 그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또 장시간 노동이 저출산 문제의 근본 원인이라는 점을 들어, 주 4.5일제가 인구 위기 해소와 관광·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새 정부 역시 주 4.5일제 도입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내년도 예산안에는 제도 시행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277억원이 편성됐다. 지원책은 직원 1인당 20만~25만원, 신규 채용 인력 1명당 60만~80만원의 장려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여론은 우호적이지 않다. 은행연합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시중은행 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1억1490만원으로, 삼성전자(6000만원), 현대차(4500만원) 등 주요 제조업체를 웃돈다. 금융업무 상당수가 이미 비대면으로 전환된 상황에서 근로시간을 더 줄이면 금융 취약계층의 불편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노조의 ‘파업 반복’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지난해에도 출근 시간 30분 조정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결의했으나, 노사 합의로 직전 철회한 바 있다. 2022년에도 임금 인상과 근무시간 단축을 내걸고 파업을 추진하는 등 유사한 요구가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금융노조 #4.5일근무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