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5세대(5G) 요금제보다 속도와 데이터 제공량은 떨어지면서 요금은 더 비싼 이른바 ‘바가지 LTE’ 요금제의 절반 이상을 없앴다. 전체 235종의 LTE 요금제 가운데 134종(57%)이 신규 가입이 중단됐다.
그러나 통신사들은 요금제 단순화와 소비자 혼란 해소를 이유로 홈페이지에 공지를 올렸지만, 기존 가입자에게는 별도의 개별 안내를 하지 않아 논란이다.
SK텔레콤은 63종 가운데 36종(52.7%), KT는 88종 중 46종(52.2%), LG유플러스는 84종 중 52종(61%)을 정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여전히 상당수 가입자가 불합리한 LTE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 LTE 가입자는 약 115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중 다수는 자신이 이용 중인 요금제가 5G보다 비싸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통신사들은 5G와 LTE 구분을 없앤 ‘통합 요금제’ 도입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한다. 다만 실제로 소비자 부담을 줄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전문가와 소비자단체는 통신사의 조용한 정리 방식이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통합 요금제 설계 과정에서 요금 인하 효과가 제대로 반영되는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정부와 국회도 이 문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는 통신사들의 요금제 정비 과정과 기존 가입자 고지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며, 정부 역시 감독 권한을 통해 필요한 조치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결국 이번 조치가 단순한 ‘요금제 정리’에 그칠지, 아니면 소비자의 통신비 부담 완화로 이어질지는 향후 통합 요금제 도입과 정부의 관리 감독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신문 #경영 #경영자 #사업 #비즈니스 #스타트업 #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벤처 #ceo #kceonews #뉴스 #정보 #인터넷신문 #lte #5g #이동통신 #요금
>>> ‘기사 공유’는 아래 SNS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기사 사용’은 한국경영자신문에 문의 바랍니다. 사전동의 없이 기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복사ㆍ캡처해 공유하거나, 복제나 2차적 저작물로 작성하는 것은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출처를 밝히더라도 사전동의를 받지 않았다면 불법입니다.